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티스토리 ads.txt 파일 문제 해결 방법

[ ads.txt파일 만들기 ]

윈도우즈 피씨에서 메모장을 실행한다.

아래 코드를 복사 붙여넣기한다.

 

google.com, pub-0000000000000000, DIRECT, f08c47fec0942fa0

 

위 식별 문구 코드에서 pub-0000000000000000를 게시자 ID라고 한다.

게시자 ID는 애드센스화면 왼쪽에서 

 

    계정 > 설정 > 계정 정보

 

의 첫줄 '게시자 ID 항목'에서 발견할 수 있다.

pub-1234567890123456와 같은 형식으로 (누구나 다른) 나만의 숫자가 있다

pub-0000000000000000의 0000000000000000을 자신의 1234567890123456으로 바꺼준다.

 

저장하면서 파일명을 ads로 한다.

자동으로 확장자 txt가 붙어 ads.txt가 만들어 진다.

( txt확장자 말고 다른게 붙어 확장자 변경해준다.)

( 필요하면 확장자 보기로 설정한다. 여기 참고 )

ads.txt파일 만들기가 끝났다.

 

 

 

[ 티스토리에 ads.txt파일 올리기 ]

티스토리 관리자화면 왼쪽 세로 항목에서 '스킨 편집' 선택한다.


관리자화면 > 세로항목 (메뉴) > 스킨편집 


화면 오른쪽 위에서 html편집 버튼 누른다.

화면 오른쪽 위 'HTML | CSS | 파일업로드'에서 파일업로드 선택.
하단 "+추가" 버튼 누른 후 뜨는 열기대화 상자에서 ads.txt를 찾아서 열기 버튼 누른다.
업로드된 파일 목록 중에 "images/ads.txt"가 표시된다.
화면 오른쪽 위에 있는 '적용' 버튼을 누른다.


ads.txt를 만들어서 티스토리에 업로드하는 모든 과정이 끝났다.
1주일 정도 기다리면 애드센스에서 보이는 수익 손실 위험 문구는 사라진다

 

애드센스 다음 내용  ]